본문 바로가기
생활

FC안양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및 추천 좌석

2025. 4. 28.
반응형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목차


    ⚽ 안양종합운동장

    개요

    • 1986년 6월 30일 개장
    • 소유: 안양시청
    • 운영: 안양도시공사
    • 다목적 경기장 (주로 축구 경기장으로 사용)
    • 수용 인원: 17,143석 일부 자료에서는 가변석 포함 20,581명으로 표기
      • 일반석 17,095석, 가변석 3,486석
    • 필드: 천연잔디 (105m x 75m)
    • 트랙: 400m x 8 레인
    • 과거 안양 LG 치타스 홈구장으로 사용 (1996년~2003년)
    • 2013년부터 FC안양 홈구장으로 사용
    • 2025년 K리그1 경기 개최

     

    안양종합운동장 내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있습니다.

    • 안양체육관 (KBL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홈구장)
    • HL 안양 아이스링크
    • 보조경기장
    • 테니스장 (6면)
    • 수영장
    • 롤러 경기장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 FC안양 티켓 예매 방법

    온라인 예매

    1. 티켓링크 웹사이트 또는 앱(APP)을 이용합니다.
    2. 티켓링크 회원가입 후 로그인합니다.
    3. 스포츠 > 프로축구 > FC안양을 선택합니다.
    4. 관람하려는 경기 및 좌석 등급/좌석을 선택합니다.
    5. 연간회원권 소지자는 연간회원권 등록번호를 인증합니다 (카드형 연간회원권 소지자에 해당).
      카드 뒷면 바코드 하단 예매번호를 입력합니다.
    6. 예매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를 진행합니다.
    7. '스마트 티켓 발권하기'를 선택하면 현장 발권 없이 입장이 가능합니다.

    현장 예매

    • 경기 당일 안양종합운동장 내 매표소에서 티켓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 경기 시작 2시간 전부터 매표소가 오픈됩니다.

     

    티켓 예매 관련 추가 정보

    • 온라인 예매는 1인당(아이디) 최대 10매까지 가능합니다.
    • 온라인 예매 시 예매수수료 1,000원이 발생합니다 (카드형 제외).
    • 온라인 예매 취소는 경기 시작 2시간 전까지 가능합니다.
      • 예매 당일 밤 12시 이전 취소 시에는 취소수수료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 예매 익일 ~ 경기 시작 2시간 전 취소 시, 취소 수수료(티켓 금액의 10%)가 발생하며, 예매 수수료는 환불되지 않습니다.
    • 온라인 예매는 홈경기 후반 15분 전까지 가능합니다.
    • FC안양 사무국 전화번호: 031-476-3377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 안양종합운동장 추천 좌석

    응원석 (R11~R13)

    • 열정적인 응원을 즐기고 싶다면 A.S.U RED와 함께 응원할 수 있는 R11~R13 구역을 추천한다.
    • 다만, 깃발과 응원가로 인해 관람 환경이 다소 쾌적하지 않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응원석 근처 (R10, R14)

    • 서포터즈와 함께 응원하면서 약간 쉬고 싶은 관람객에게 적합하다.

    치어리더 응원석 (R18~R22)

    • 치어리더의 응원을 보면서 함께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선수 출입구 근처 (R6~R9)

    • 입퇴장이 빠르고, 가끔 선수들을 가까이에서 보고 싶은 팬들에게 좋다.

    2층 일반석

    • 경기 전술을 한눈에 파악하고 싶다면 2층 일반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높은 위치에서 경기 전체를 조망하며, 유유자적하게 관람할 수 있다.

    시야 방해석 (R17구역 7열)

    • R17 구역의 7열은 시야 방해석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시야가 괜찮다는 후기도 있다.

    오상헬스케어존 (R18, R19, R20, R21, R23)

    • 시야 제한석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시야가 좋은 편이다.
    • 2층 자유석과 가격이 같으므로, 가능하다면 오상헬스케어존을 우선적으로 예매하는 것이 좋다.

    R9구역 9열

    • R9 구역 최상단에 있는 좌석으로, 시야가 상당히 좋다는 평가가 있다.

    가변석

    • 가변석도 연석 구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뒷자리

    • 뒷자리가 시야가 훤하게 잘 보여서 좋다는 후기가 있다. 다음에는 아예 제일 뒷자리로 예매하기로 했다는 의견도 있다.

     

    좌석 예매 팁

    • 온라인 예매는 경기 4일 전 오픈되며, FC안양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하면 예매 일정을 카톡으로 받을 수 있다.
    • 연간회원권 소지자는 일반 예매보다 하루 먼저 선예매를 진행할 수 있다.
    • 온라인 예매는 티켓링크에서 진행된다.
    • 티켓링크 앱을 통해 스마트 티켓을 발권하면 별도의 절차 없이 경기장 입장이 가능하다.
    • 온라인 예매 시 1인당 최대 10매까지 예매 가능하다.
    • 온라인 예매 시 예매수수료 1,000원이 발생한다 (카드형 제외).
    • 온라인 예매 취소는 경기 시작 2시간 전까지 가능하다.
    • 홈경기 후반 15분 전까지 온라인 예매가 가능하다.
    • 예매 당일 밤 12시 이전 취소 시에는 취소수수료가 발생되지 않는다.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 안양종합운동장 위치 및 주차

    위치

    • 주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389 (비산동 1023번지)

     

    대중교통

    • 버스
      • 종합운동장 정류장 (관악대로): 400m 정도 걸어야 함
        • 간선버스: 541
        • 일반버스: 8, 8-1, 9, 9-3, 11-2, 11-3, 51, 60
        • 52번 버스 이용 시 "삼호아파트, 평촌우리병원"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 종합운동장 정문 정류장:
        • 지선버스: 5625, 5626, 5713
      • 안양 마을버스: 5번 (주경기장: 비산3동행정복지센터 또는 북문 하차, 농구장/빙상장: 종합운동장정문 하차)
    • 지하철
      • 4호선 범계역: 3번 출구에서 5번 마을버스를 이용하여 종합운동장 정문에서 하차
      • 1호선 안양역: 1번 출구에서 5625, 5626, 5713번 버스 이용
      • 인덕원역: 8번 출구에서 대부분의 시내버스 이용, "종합운동장" 정류장 하차 후 400m 도보
    • 경강선 (예정): 안양종합운동장 사거리 역 (2029년 12월 예정)

     

    주차

    • 주차장 위치: 안양종합운동장 부설주차장
    • 주차 면수: 총 811면 (행사 시 보조축구장 활용 시 1,060면)
      • 지상주차장 (주경기장): 외곽 364면, 보조축구장(행사 전용) 249면
      • 지하주차장 (체육관): 447면 (B1F: 17면, B2F: 213면, B3F: 217면)
    • 운영 시간: 24시간 (유료 운영: 08:00 ~ 21:00, 무료 개방: 21:00 ~ 익일 08:00)
    • 주차 요금:
      • 최초 60분 무료, 이후 10분당 300원
      • 프로 경기 관람객 및 대형 행사: 선결제 시 2,000원으로 5시간 무료 주차 (미결제 시 정상 요금 부과)
      • 체육시설 이용객 (강습회원): 3시간 무료 (강습 당일 1회)
    • 결제 방식: 신용카드 전용 (현금 결제 불가)
    • 월정기권: 70,000원, 인근 주민 45,000원 (비산3동, 관양1동 거주자), 공사 직원 및 입주단체 10,000원
    • 주차 팁:
      • 프로 경기 관람 시 사전 결제 활용 (2,000원으로 5시간 무료)
      • 카카오T 주차 서비스 이용 가능
      • 주차 공간이 협소하므로 대중교통 이용 권장

    주의: 경기 후 주차장 혼잡 예상되므로 대중교통 이용 권장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안양종합운동장 예매 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