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연차 계산법!
"내 연차 몇 개 남았지?" 고민된다면 연차 계산기를 활용해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연차 발생 조건, 연차 계산법, 무료 연차 계산기 사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 1. 연차 발생 조건
연차는 근속 연수와 출근율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합니다.
회사마다 규정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인 연차 발생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2025년 연차 발생 기준
- 1년 미만 근무자 → 매월 1개씩 발생 (최대 11개)
- 1년 이상 근무자 → 15개 기본 연차 지급
- 3년 이상 근속 시 → 1년마다 1개 추가 (최대 25개)
💡 연차 발생의 핵심 조건
✔️ 1년간 80% 이상 출근해야 정상 연차 지급
✔️ 입사일 기준으로 연차 계산 (연도별 초기화 X)
✔️ 퇴사 시 미사용 연차 수당으로 정산 가능
✅ 2. 연차 계산하기
연차는 단순히 근속 연수만으로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입사일과 근무 일수, 출근율까지 반영해야 정확한 계산이 가능합니다.
💡 연차 공식 계산법
- 1년 차 직원 (1년 미만 근무자)
→ 입사 후 매월 1개 발생, 최대 11개까지 사용 가능 - 1년 이상 근속 직원
→ 기본 15개 연차 지급
→ 3년마다 추가 연차 1개씩 발생 (최대 25개)
✔️ 예제 1) 1년 차 직원 연차 계산
👉 2024년 5월 1일 입사 → 2025년 4월 30일까지 매월 1개씩 총 11개 발생
👉 2025년 5월 1일 이후 기본 15개 연차 부여
✔️ 예제 2) 5년 차 직원 연차 계산
👉 기본 연차 15개 + 추가 연차 2개 (3년 초과 근무) = 총 17개
✅ 3. 연차 계산기
연차 계산이 헷갈린다면? 연차 계산기를 활용해 자동으로 확인하세요!
📌 고용노동부 연차 계산기
📌 사람인 연차 계산기
✅ 4. 연차 수당 계산법
💰 미사용 연차 수당 받을 수 있을까?
연차를 다 사용하지 못하면, 연차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연차 수당 계산 공식
(월급 ÷ 209시간) × 미사용 연차 일수
✔️ 예시: 월급 300만원, 연차 5일 미사용
👉 (3,000,000 ÷ 209) × 5 = 약 71만 7천 원 지급
💡 주의! 연차 수당을 못 받을 수도 있다?
- 연차 사용 촉진 제도를 시행한 회사는 미사용 연차 수당 지급이 면제될 수 있음.
- 연차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회사의 연차 사용 촉진 여부 확인 필수!
✅ 연차 계산기로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세요!
연차 사용이 헷갈린다면? 연차 계산기로 간편하게 확인하고, 연차 수당까지 꼼꼼히 챙기세요!
💡 지금 바로 연차 계산기 사용해보기
✔️ 연차 계산법 & 연차 발생 조건, 쉽게 정리 끝!
✔️ 직장인 필수 정보, 꼭 저장해두세요!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다세대 종부세 계산 방법 총정리 (0) | 2025.03.25 |
---|---|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계산하는 법! 2025년 최신 세율 반영 (0) | 2025.03.20 |
근로장려금 지급 기준 및 신청 방법 (2025년 최신) (0) | 2025.03.12 |
서울사랑상품권 구매 방법 및 2025년 3월 추가 발행 정보 (5% 할인 혜택!) (2) | 2025.03.12 |
2025 서울 청년수당 신청 방법 및 사용 방법 (50만원 받기) (0) | 2025.03.10 |